Interview
Interview
머리말
이력서는 전부 본 상태이고, 관심이 있기 때문에 면접을 보는 상황.
그래서, 자기소개할 때는 강점, 지원한 회사를 선택한 이유, 이 회사에서 어떤꿈/목표를 가지고 일을 하겠다에 대한 부분들을 솔직하게.
이력서 / 경럭 기술서 / 포트폴리오
포트폴리오
- 포폴 올릴 때 링크 잘 안들어가니까, 확실하게 다 넣을 것
- 다른 포폴을 많이 참고할것
- 이도현 포트폴리오
- 게임 클라이언트 프로그래머 - 이도현 프로필
[게임 개발 포트폴리오 TSEROF - 내일배움캠프 블로그](https://nbcamp.spartacodingclub.kr/blog/%EA%B2%8C%EC%9E%84-%EA%B0%9C%EB%B0%9C-%ED%8F%AC%ED%8A%B8%ED%8F%B4%EB%A6%AC%EC%98%A4-tserof–16755)
이력서 / 경럭 기술서
- 외주 용어 정리 ( 1인 개발 / 팀 개발 )
역할이 분명하고 구분되어 있으면
짧은 주기 프로젝트는 약점이 될 수 있다
- 본인 주도적
- 프로젝트 분야를 확실히 - 회사와 매칭되도록
프로젝트 중심에서 기술 중심으로
이력서 쓴 기술에 대한 내용을 물어본다
why what how 어떤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려고 했는지
- 뱃지 모으기
- 이렇게 해본 것이 많아요 -> 깊은게 없어요 X
- 자기소개서는
- 프로젝트 관련된 기술과 의사 결정 경험을 공유
- 관심 분야와 하고 싶은 롤을 표현
일반 질문
인성, 업무 스타일, 업무 시 겪는 갈등 해결 방법 등
본인의 경험 중 강조하고 싶은 경우와 이유:
실패했던 업무와 이를 통해 배운 점:
- 인생에서 실패했던 경험과 이를 통해 배운 점:
- 첫 게임은 디버깅을 팬 분들이 해주셨는데
- 외주 경험 - 디버깅 중요성 내 프로그램은 내가 책임을 져야한다
- 최근 즐겨하는 게임과 본인의 인생 게임, 선정 이유
- 이유를 명확하게 쓸 수 있는 게임 , 얼마나 깊게 게임을 해봤나, 최신 게임도 해보나, 요즘 애들은 무슨 게임을 하나
- 제가 만들고 있는 게임, 인사이트를 얻으려고 로그라이크 스팀인디게임류
- Va11 HALL-A
- 사이버펑크 바텐더 액션
- 사이버펑크 세계관에서 손님의 이야기를 들으며 술을 섞고 이야기를 듣는 비주얼 노벨
- 사이버펑크 세계관이다 보니까 적나라하고 직설적인 인터넷 커뮤니티 딥한 감성.
- 게임의 정의는 무엇일까
업무 진행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과 노력하는 점
- 조별 과제 진행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과 노력하는 점:
- 팀에 꾸준하게 반응을 하는것
- 일정이나 이슈에 대한 단순 기록
- 상대의 기록에 피드백
가장 기억에 남는 업무 환경 혹은 직장 동료
- 조별 과제 진행 시 가장 기억에 남는 사례 혹은 팀원:
- 3학년 SW공학 조별과제 수업 선배
- 게임쪽 준비하셔서 통했고 설명하시기를 좋아했다
- 웹 프로젝트를 지행했는데 모르는 눈치를 보이면 관련된 자료 바로 검색하고 보여주시면서 지식을 알려주셨다, 뭔가 좋아하는 몰입하는 분들이 멋있게 느껴지는 것 같다
지원한 직무와 업무 향상을 위해 하고 있는 노력
- 게임 업계 입사를 위해 하고 있는 준비와 노력:
- 경험이라고 생각하고 있고
- 그렇게 밤낮 바뀌느라 학교 수업을 제대로 못들었다
- 수업 때 기록해뒀던 메모들 다시 살펴가면서 컴싸 공부하고 있다
- 평소에 하는 스트레스 관리와 본인만의 특별한 해소 방법:
- 진부하지만 친구들과 게임
- 근데 친구들 군대가고 시험 공부하느라 바쁘고 또 요즘은 취업 생각 때문에 게임을 해도 긴장되고 신경이 딴데로 가서 힘들구요
- 그날은 그냥 잠이 올때까지 음악 플레이리스트 틀어두고
- 내 게임 만들기 필요한 기술 공부, 세계관 짠다던지, 캐릭터 짠다던지
- 앞으로 게임 개발에서 이루고 싶은꿈 혹은 목표:
- 나를 증명하고 싶은 욕망
- 나 이거 만든 개발자야 할 수 있는 어떤 성공한 게임
- 확고한 팬층이 있는
- 기술적으로도, IP적으로도 가치있는 게임
- 지금도 진행하고 있는 건데요,
- 오픈소스 게임을 꾸준히 만들어 보는 것
- 내가 주도하는, 새로운 게임 개발 커뮤니티를 만들어서 개발자들의 참여를 이끌고 싶고, 누군가가 보고 공부할 수 있는 프로젝트면 또 좋게소
- 내 게임을, 내 세계관을 좋아하는 팬들이 있어줬으면 좋겠스빈다
회사 혹은 지원한 프로젝트에 대해 궁금한 점:
- 인생에 대한 Summary
우리 회사 게임 해봤습니까
- 5 ~ 7년 뒤에 무엇을 하고 있을지 고민, 계획
- 지원자의 인생관 확인
- 꿈이 있는지, 미래를 그리며 살아가는지, 앞으로 성장 가능성이 있는지 그리고 자기 계발을 하는지 말입니다.
- 얼마나 ‘우리 회사에 관심이 있는가’
- 그냥 한번 면접을 보러 온 것인지, 정말 입사할 의향이 있는지 그리고 얼마나 오래 다닐 수 있을 것인가를 알고 싶기 때문입니다.
- ‘면접 준비를 얼마나 했는가’
- 그런 것들을 종합해서 지원자의 답변에 대한 신뢰도를 체크하기도 하고요. 실제 입사 후 적응 여부를 예상하기도 합니다.
- 지원자의 인생관 확인
메모
면접
00
- 자기소개 X
회사 분위기 어떤 것 같아요?
- 15분 수정 과제 3개
- 크롬 화면 공유를 통해 실시간으로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과정을 확인함
- 시간 짧은 걸 인지하고 있음, 어떻게 문제에 접근하고 해결하는지를 보는 것
- 과제를 다 구현했지만 내부 내용이 별로라면? XX
- 과제 내용
- 스테이지 늘리기
- 특정 키 눌렀을 때, 2초동안 모든 카드 앞면 보여주는 힌트
- 특정 키 눌렀을 때, 카드들을 섞는 (셔플) 하는 기능
- 기술 질문
- 싱글턴 패턴
- 오브젝트 풀
- Scriptable Object
- 인성 질문
- 인적성 검사 결과, 유독 낮은 점을 집으면서 어떻게 생각하는지
- 인적성 검사 조금 이상적으로 해도 좋겠다?
- 나 같은 경우 두 가지가 낮았는데, 이에 대해서 제대로 변호를 못한 것 같음
- 수리 영역 (프로그래머에 있어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)
- 정서 안정성
- 미래를 대비를 많이하는 편이다~ 라고 변호를 했더라면
- 나 같은 경우 두 가지가 낮았는데, 이에 대해서 제대로 변호를 못한 것 같음
- 피드백
- 피드백 요청을 드렸더니
- 말을 좀 장황하게 한다 (원하는 답이 있는데 바로 안말해준다)
- 최근에 새롭게 공부하는 기술?
- 쉐이더
- MUdons 프로젝트 만들면서 몇 분께서 써주셔서 접근성을 높히려는 노력 / 개발자의 글쓰기 책 읽으면서 공부하고 있다
- 가장 기억에 남는 프로젝트?
- 패러블 엔터테인먼트에서 정확히 어떤 일을 했는지?
- 협업을 어떻게 진행했는지?
- 이력서에 다 적어두긴 했는데..
- 사진 같은 걸로 더 보여줘야 하나?
- 과제
- 얼마나 걸렸는지
- 과제를 만들면서 어려웠던 점 (버그)
- 나는
- Editor 타임에서는 괜찮았는데 PlayTime에서 결과 창이 안보이는 버그
- PlayerPref를 썼는데, 빈 값을 가져올 때 에러가 발생하고 있었던 것
- Unity Logger를 써서 로그를 찍어 디버깅을 하고 에러를 확인하고 예외처리를 해서 고침
- 나는
- 테스트를 여러 기기에서 해봤는지
- 과제 버그가 있는데 알고 있는지?
- 과제에 대해서 AI를 썼는지
- 썼다면 어떤 방식으로 썼는지
- 나는
- ChatGPT말고 Copilot을 썼고 질문을 하기 보다는 업무 효율성을 위해서 쓴다는 식을 답변을 했고
- 남아 있는 주석은 단지 내 개발 방향성을 위한 것이고, 용도는 아니었다.
- 회사에서도 AI 사용을 잘 한다고 말씀을 해주셨다.
- 좋아하는 게임?
- 나는
- 매일 접속이 강요되는 게임 보다는 내가 주도적으로 플레이 타임을 결정할 수 있는 게임
- 최근에 했던 게임을 말씀드렸다 Shapez2 공장류 게임
- 나는
- TA 관심있으시다고?
- 나는
- 네, 근데 이제 막 공부를 시작한 정도라서, 뭘 설명하거나 하는 정도는 아니다.
- 나는
- 연봉
- 제일 어려웠다
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 4.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.